전공 소개 및 최근 이슈 | 건설경영(스마트시티 인프라)
- 미래/글로벌 전환 대응, 산업 현장 적용: 음식물쓰레기·농업부산물 등 유기성 폐기물을 수소·메탄 등 청정에너지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수소 생산 미생물이 ‘그래뉼(granule)’ 형태를 형성하면 생산 효율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원리를 규명하고, 고활성 미생물을 고농도로 유지하는 기술을 확보했다. 동적막 (DMBR) 기반 연속 수소 생산 공정에서는 기존 대비 10배 이상 향상된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성을 달성했으며, 이 성과는 2023년 9월과 2024년 8월 Chemical Engineering Journal에 게재되었으며 현재 SK에코플랜트와 산학 공동으로 600 L 규모 실증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지속가능 사회 대응, 정책 실현 기여: 본 기술은 지자체 유기성 폐자원 활용 의무화 정책에 부합하며, 수소경제 전환과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할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대규모 설비 증설 없이도 미이용 바이오가스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어, 향후 분산형 폐수·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고효율화와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중요한 역할이 기대된다.
댓글
댓글 쓰기